모듈형 블록체인
블록체인 트릴레마
확장성 : 블록체인이 얼마나 많은 트랜잭션을, 얼마나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가?
탈중앙성: 특정 집단이 통제하는 것이 아닌 서로 다른 개별 참여자들이 합의를 통해 네트워크를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가?
보안성: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으로부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 및 자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가?
"탈중앙성을 높이려 하면 확장성이 저하되고, 확장성을 높이려 하면 탈중앙성과 보안이 위협받는다."
기존 블록체인의 문제인 트릴레마에 대하여 모듈형 블록이 기존 체인과는 다른, 새롭고 흥미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모놀리틱 블록체인
모놀리틱 블록체인 구조란 기존 블록체인의 합의, 연산, 세틀먼트, 데이터 가용성(DA)을 같은 장소, 하나의 Layer1에서 전부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 체인의 각 노드들, 즉 검증인들이 합의, 실행, 세틀먼트 , DA까지 모든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확장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개별 유저들이 검증인으로 쉽게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요구되는 검증인의 진입장벽이 높아지고 트릴레마 중 탈중앙성이 훼손된다. 빠른 연산을 위해 고가의 CPU나 블록 사이즈를 늘리기 위해 대용량의 RAM, SSD 등이 요구된다.
트릴레마 극복을 위한 이더리움 롤업 솔루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롤업 솔루션, Layer2
이더리움은 노드의 수가 많아서 탈중앙성과 보안성은 뛰어나지만 수가 너무 많은 관계로 트랜잭션의 속도가 느려지고 수수료가 많이 증가해서 확장성 면에서 큰 문제를 맞이하고 있었다. -> 현재 Rollup 솔루션이 메인스트림으로 남아있다.
롤업솔루션이란 별도 Layer2에서 트랜잭션 처리를 담당하는 연산 기능만을 수행하고 이 연산 결과를 시퀀서라 부르는 노드가 그 트랜잭션 정보들과 이로 인해 변화된 블록 상태 값들을 모아서 하나의 압축된 형태로 Batch로 묶는다. 그것을 이더리움 메인 넷인 Layer1에 제출하고 블록으로서 기록하게 된다. 이렇게 압축된 Batch에는 하나의 트랜잭션 정보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대량의 트랜잭션 정보가 하나의 블록으로 묶여있어서 여러 트랜잭션을 한 번에 처리하는 효과를 만들어 보다 저렴하고 빠른 거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확장성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게되었다. 하지만 이럼에도 트릴레마를 완벽하게 해결할수 없었던 이유는 확장성 부분은 어느정도 해결했지만 Layer2 자체가 어차피 트랜잭션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서 결국 Layer1의 검증인 셋이 아닌 Layer2에서도 높은 하드웨어를 지닌 검증인들을 모집하게 되면서 결국 탈중앙성을 훼손하게 되었다.
모듈형 블록체인
모듈형 블록체인은 기존과는 달리 합의, 연산, 셔틀먼드, DA 이 4개의 Layer를 블록체인의 기능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Layer에 맞는 블록체인을 각각 개별 하여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런 모듈형 구조는 새로운 블록체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처음부터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솔루션의 모듈을 기반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모듈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지만 독립적인 자주권을 갖는 별도의 블로체인이 될 수 있다. 모놀리틱 블록체인이 갖는 장점이었던 독립성, 자주성과 이 모듈들을 공유하는 블록체인 간의 통신을 이용한 상호운용성을 갖는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모듈형 블록체인은 기존 블록체인이 넘지 못했던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모듈형의 시작은 지금부터
모듈러 블록체인 자체가 아직 개념조차 형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이다. 모듈형 블록체인이 처음 제안되었을 때에는 기본적인 합의, 연산, 세틀먼트, DA로 나뉘었지만 최근에는 더욱 다양하게 모듈형 스택이 나뉘고 발전되고 있다.
나이트크로우 글로벌과 CROW 토크노믹스 - 정찬홍
나이트크로우의 특징
- Token: 멀티 토크노믹스 채택을 통한 총 7개의 토큰, 이 중 "Crow"토큰이 기축통화로서 핵심 역할을 한다.
- LV 45 이상 달성 시 토큰 민팅 가능. LV 50 이상 달성 이후 캐릭터 NFT화 가능 -> 최소 1개월 소요
- Omnichain: 위믹스 이외 BNB, Polygon, Kroma, Avalanche, Ethereum 체인 지원
찬홍 님의 생각: WEB2 게임의 관점에서 본 "BM모델"에 대해서는 매우 괜찮은 게임이나 WEB3게임으로서는 결국 P2E 및 "BM모델"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핵심은 게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재화인 "CROW" 토큰이다. Crow는 $0.75가 넘어가야만 Minitng이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0.75가 될 때마다 유저들이 Crow를 Minting 하기 때문에 0.75$를 넘어가지 않는 기간이 길다.
찬홍 님이 생각하시는 문제점 -> 게임사에선 인게임 상점을 통해 사용자들에게서 이익을 , 유저들은 Crow 판매를 통해 이익을 보려 하는 구조에서 Crow 소각처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온 - 오프라인 토근 사용처 Building이 중요하다.
CROW 거래는 PNIX에서 WEBIX 3.0 네트워크상에서만 가능해서 CROW(Kroma) -> CROW(WEMIX)로 SWAP 해야 한다.(다른 체인에서 굳이 민팅 할 이유가 없다.)
아직까지 진짜 WEB3 게임을 대표하는 게임이다 라고 할 정도의 게임은 나오지 않은듯 하다. 하지만 곧 WEB3를 대표할만한 의미있는 게임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Study > 블파스-블록체인 파헤치는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3 Community / 우린 왜 디센트 지갑이 있는데도 위핀 지갑을 새로 만들었을까? - 1주차 (0) | 2024.05.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