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형 블록체인

블록체인 트릴레마

확장성 : 블록체인이 얼마나 많은 트랜잭션을, 얼마나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가?

탈중앙성: 특정 집단이 통제하는 것이 아닌 서로 다른 개별 참여자들이 합의를 통해 네트워크를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가?

보안성: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으로부터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 및 자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가?

 

"탈중앙성을 높이려 하면 확장성이 저하되고, 확장성을 높이려 하면 탈중앙성과 보안이 위협받는다."

기존 블록체인의 문제인 트릴레마에 대하여 모듈형 블록이 기존 체인과는 다른, 새롭고 흥미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모놀리틱 블록체인

모놀리틱 블록체인 구조란 기존 블록체인의 합의, 연산, 세틀먼트, 데이터 가용성(DA)을 같은 장소, 하나의 Layer1에서 전부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 체인의 각 노드들, 즉 검증인들이 합의, 실행, 세틀먼트 , DA까지 모든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확장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개별 유저들이 검증인으로 쉽게 참여할 수 있을 만큼 요구되는 검증인의 진입장벽이 높아지고 트릴레마 중 탈중앙성이 훼손된다. 빠른 연산을 위해 고가의 CPU나 블록 사이즈를 늘리기 위해 대용량의 RAM, SSD 등이 요구된다.

트릴레마 극복을 위한 이더리움 롤업 솔루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롤업 솔루션, Layer2

이더리움은 노드의 수가 많아서 탈중앙성과 보안성은 뛰어나지만 수가 너무 많은 관계로 트랜잭션의 속도가 느려지고 수수료가 많이 증가해서 확장성 면에서 큰 문제를 맞이하고 있었다. -> 현재 Rollup 솔루션이 메인스트림으로 남아있다.    

     

롤업솔루션이란 별도 Layer2에서 트랜잭션 처리를 담당하는 연산 기능만을 수행하고 이 연산 결과를 시퀀서라 부르는 노드가 그 트랜잭션 정보들과 이로 인해 변화된 블록 상태 값들을 모아서 하나의 압축된 형태로 Batch로 묶는다. 그것을 이더리움 메인 넷인 Layer1에 제출하고 블록으로서 기록하게 된다. 이렇게 압축된 Batch에는 하나의 트랜잭션 정보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대량의 트랜잭션 정보가 하나의 블록으로 묶여있어서 여러 트랜잭션을 한 번에 처리하는 효과를 만들어 보다 저렴하고 빠른 거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확장성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게되었다. 하지만 이럼에도 트릴레마를 완벽하게 해결할수 없었던 이유는 확장성 부분은 어느정도 해결했지만 Layer2 자체가 어차피 트랜잭션을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서 결국 Layer1의 검증인 셋이 아닌 Layer2에서도 높은 하드웨어를 지닌 검증인들을 모집하게 되면서 결국 탈중앙성을 훼손하게 되었다.

 

모듈형 블록체인

모듈형 블록체인은 기존과는 달리 합의, 연산, 셔틀먼드, DA 이 4개의 Layer를 블록체인의 기능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Layer에 맞는 블록체인을 각각 개별 하여 서로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런 모듈형 구조는 새로운 블록체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처음부터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솔루션의 모듈을 기반으로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모듈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지만 독립적인 자주권을 갖는 별도의 블로체인이 될 수 있다. 모놀리틱 블록체인이 갖는 장점이었던 독립성, 자주성과 이 모듈들을 공유하는 블록체인 간의 통신을 이용한 상호운용성을 갖는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모듈형 블록체인은 기존 블록체인이 넘지 못했던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모듈형의 시작은 지금부터

모듈러 블록체인 자체가 아직 개념조차 형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상태이다. 모듈형 블록체인이 처음 제안되었을 때에는 기본적인 합의, 연산, 세틀먼트, DA로 나뉘었지만 최근에는 더욱 다양하게 모듈형 스택이 나뉘고 발전되고 있다.

 

 

 

나이트크로우 글로벌과 CROW 토크노믹스 - 정찬홍

 

나이트크로우의 특징

  • Token: 멀티 토크노믹스 채택을 통한 총 7개의 토큰, 이 중 "Crow"토큰이 기축통화로서 핵심 역할을 한다.
  • LV 45 이상 달성 시 토큰 민팅 가능. LV 50 이상 달성 이후 캐릭터 NFT화 가능 -> 최소 1개월 소요
  • Omnichain: 위믹스 이외 BNB, Polygon, Kroma, Avalanche, Ethereum 체인 지원

찬홍 님의 생각: WEB2 게임의 관점에서 본 "BM모델"에 대해서는 매우 괜찮은 게임이나 WEB3게임으로서는 결국 P2E 및 "BM모델"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핵심은 게임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재화인 "CROW" 토큰이다. Crow는 $0.75가 넘어가야만 Minitng이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0.75가 될 때마다 유저들이 Crow를 Minting 하기 때문에 0.75$를 넘어가지 않는 기간이 길다.

 

찬홍 님이 생각하시는 문제점 -> 게임사에선 인게임 상점을 통해 사용자들에게서 이익을 , 유저들은 Crow 판매를 통해 이익을 보려 하는 구조에서 Crow 소각처가 부족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온 - 오프라인 토근 사용처 Building이 중요하다. 

CROW 거래는 PNIX에서 WEBIX 3.0 네트워크상에서만 가능해서 CROW(Kroma) -> CROW(WEMIX)로 SWAP 해야 한다.(다른 체인에서 굳이 민팅 할 이유가 없다.)

 

아직까지 진짜  WEB3 게임을 대표하는 게임이다 라고 할 정도의 게임은 나오지 않은듯 하다. 하지만 곧 WEB3를 대표할만한  의미있는 게임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https://www.youtube.com/@blpas

 

블파스 - 블록체인 파헤치는 스터디

[블파스 - 블록체인 파헤치는 스터디]는 블록체인에 관심은 많은데 혼자 공부하려니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를 모르겠는 분들이 모여 함께하기 위한 스터디 모임입니다. 스터디에 참가하시면

www.youtube.com

 

Web3 Community - 박민 님

WEB1/WEB2/WEB3 커뮤니티의 차이 

- WEB 1.0

중앙화된 기업, 집단을 사용자들이 단순 사용하는 콘텐츠이다.  사용자가 콘텐츠들을 읽는 형태. ex) 블로그나 CNN , 각종 언론사들

 

- WEB 2.0 

중앙화된 기업이 플랫폼들을 제공하면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글이나 사진, 동영상 등을 통해 컨텐츠를 퍼블리싱하고 이를 다른 참여자들이 함께 상호작용하며 참여한다. ex)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 유튜브 등

이러한 플랫폼들이 Web2.0에 머무를수밖에 없는 이유 : 플랫폼 제공자라는 거대 기업이 중앙에 있기 때문 

 

- WEB3.0

중앙화된 집단이나 기업이 아니라 사용자, 참여자들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생태계가 이어지고 운영이 된다.

WEB3.0을 처음 얘기했던 Gavin Wood 다음과 같이 말했다.
"Web1 : Read, Web2: Read-Write, Web3: Read-Write-Own"

 

WEB3 Community의 정의

 

 Decentralized-탈중앙성, Permissionless -개방성, Native Payments-자산이동의 편의성, Trustles - (비)신뢰성(신뢰성을 바탕으로 기업에 맡기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신뢰 자체가 필요 없다.)이 전체 Web3 Community의 중요한 구조적 틀이다.

Web2의 중앙 집중식 프레임워크에서 Web3의 분산 영역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단순한 기술적 도약이 아니다. 이는 디지털 커뮤니티가 디지털 세계를 형성하고, 운영하고,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이다.

 

Dao란?

 

Decentralized Autonomus Organizations

탈중앙화된 자율 조직

Smart Contracts를 기반으로 토큰 소유자들이 분산화된 의결권을 가지고 참여하는 형태

 

Web3 Community의 기본사항

- 참여와 투명성의 기반 구축

- 단순한 금전적 이상의 보상(인센티브)

- 교육과 비전 공유를 통한 역량 강화

- 더 깊은 참여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활용

 

Web3 Community의 과제

- 여전히 높은 진입장벽과 온보딩 피로도 축적

- 거버넌스의 중앙화적 퇴행 현상

- 다양한 기술적 한계와 제한된 유동성, 매크로 경제 상황의 변수

 

Q. NFT를 거래하거나 사용하는 플랫폼은 어떤 걸 중요하게 생각해야할지, 방향성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에 대한 박민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NFT 시장은 소유권, 멤버십을 중요시한다. 멤버십이 어떻게 하면 극대화될 수 있을까? 에 대하여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린 왜 디센트 지갑이 있는데도 위핀 지갑을 새로 만들었을까? - 유민호 님

-  콜드월렛 만들면서 WaaS 만든 이야기

블록체인 기술을 서비스에 접목하려는 팀들에게는 공통의 니즈가 있었다.

"서비스 내부에 지갑을 내장시키고싶다." 

기존 많은 지갑들은 모바일 앱이나 익스텐션 기반이었다. -> 설치가 필요했다. 

 

직접 서비스를 위한 지갑을 구축하는 것도 좋지만 이에 필요한 기술이나 정보가 많이 필요하기에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질 수 있다.

-> 그래서 SaaS 형태의 솔루션, WaaS를 제공한다.

 

기존에 운영했던 디센트 지갑은 개인들을 위한 지갑에 중점을 뒀다면 새로운 위핀 지갑은 블록체인을 서비스에 활용하려는 기업들을 위한 지갑이다.

 

위핀이 제공하는 것 : 소셜 기능, 위젯 커스터마이징, 표준 인터페이스, 위젯 연동 방식 or API 연동 방식 둘 다 제공, 토큰 정보 제공 및 마케팅 도구 제공

+ Recent posts